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티스토리 블로그 본문 목차 설정 방법 (자동 목차 & 수동 목차 최신 가이드)

by 또또핑_ 2025. 8. 20.
반응형

 

티스토리 블로그 본문 목차 설정 방법 (자동 목차 & 수동 목차 최신 가이드)

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독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워집니다. 이때 본문 목차 기능을 추가하면 독자들이 더 편리하게 글을 탐색할 수 있고, 동시에 검색엔진 최적화(SEO)에도 유리합니다.

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 티스토리 블로그 자동 목차 설정 방법과, 특정 글에만 목차를 표시할 수 있는 수동 목차 설정 방법을 최신 HTML 코드와 함께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
목차

  1. 본문 목차 기능이 중요한 이유
  2. 티스토리 블로그 자동 목차 설정 방법
    • HTML 코드 삽입 방법
    • 작동 원리와 사용법
    • 표시 오류 해결 방법
  3. 티스토리 블로그 수동 목차 설정 방법
    • HTML 서식 저장 방법
    • 사용 방법 및 오류 시 참고사항
  4. 자동 목차 vs 수동 목차, 무엇이 더 좋을까?
  5. 마무리 및 SEO 팁

1. 본문 목차 기능이 중요한 이유

  • 긴 글을 단락별로 구분해 가독성이 향상됩니다.
  •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어 이탈률 감소  체류시간 증가 효과가 있습니다.
  • Googlebot(구글 크롤러)이 글의 구조를 더 잘 이해해 검색 상위 노출에 유리합니다.
  • 위키백과, 나무위키 등 대형 정보 사이트에서 항상 사용하는 기능이기도 합니다.

2. 티스토리 블로그 자동 목차 설정 방법

2-1. HTML 코드 삽입 방법

  1.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→ 꾸미기 → 스킨 편집  HTML 편집 진입
  2. </body> 태그 바로 위에 자동 목차 HTML 코드를 붙여넣기
  3. 저장 후 적용

👉 글쓰기 에디터에서 제목1(H2), 제목2(H3), 제목3(H4) 태그를 사용하면 발행 시 자동으로 목차가 생성됩니다.
👉 [목차여기] 명령어를 입력하면 원하는 위치에 목차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.

2-2. 작동 원리

  • 글 작성 시 제목 태그(H태그)를 기준으로 목차를 자동 생성
  • 블로그 모든 글에 공통 적용
  • 글 발행 후 자동으로 목차 박스가 표시됨

2-3. 오류 해결 방법

  • 제목 태그가 없는 경우 목차 박스가 공란으로 표시됩니다.
  • [목차여기] 오타 발생 시 자동으로 본문 상단에 표시됩니다.
  • 모바일 웹에서도 표시되지만, 티스토리 앱에서는 작동하지 않음

3. 티스토리 블로그 수동 목차 설정 방법

자동 목차 대신, 특정 글에만 목차를 넣고 싶을 때는 수동 목차 설정을 활용하면 됩니다.

3-1. HTML 서식 저장 방법

  1.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→ 설정 → 콘텐츠 → 서식 관리
  2. 새로운 서식 작성 → HTML 모드 선택
  3. 목차 스크립트 코드 붙여넣기 → 저장

3-2. 사용 방법

  • 글쓰기 에디터 상단 메뉴 → 서식 → 저장한 목차 불러오기
  • 원하는 글의 제목을 제목1, 제목2, 제목3 태그로 지정
  • 글 발행 시 해당 위치에 목차 자동 생성

3-3. 주의사항

  • 여러 개의 스크립트를 삽입해도 가장 위에 있는 것만 작동
  • 스크립트를 삭제하면 해당 글에서는 목차가 표시되지 않음

4. 자동 목차 vs 수동 목차, 무엇이 더 좋을까?

구분 자동목차 수동목차
적용 범위 블로그 전체 글 원하는 글만 선택 적용
편리성 한 번만 설정하면 자동 생성 필요할 때마다 적용
권장 대상 정보성·가이드성 글 위주 블로거 일기·사진 등 자유글 위주 블로거
SEO 효과 높음 (구조화된 글 제공) 중간 수준

결론:

  • 정보 제공 블로그 → 자동 목차 추천
  • 개인 일상 블로그 → 수동 목차 추천

5. 마무리 및 SEO 팁

티스토리 블로그에 본문 목차를 설정하면 독자 편의성과 SEO 두 가지 효과를 모두 누릴 수 있습니다.

  • 자동 목차: 구조적인 블로그 운영에 적합
  • 수동 목차: 선택적 적용에 적합

👉 본문 목차는 단순한 편의 기능이 아니라, 검색엔진 최적화(SEO)와 상위 노출을 위한 핵심 요소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.

 

반응형